Abstract
The legacy of the Renaissance Cabinet of Curiosities has continued through artistic applications of collecting and cataloguing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ile Mark Dion’s ‘archaeological dig series’ shares formal resemblances to the curiosity cabinets, it is notably distinctive in adopting and appropriating scientific methodologies to criticize and challenge institutional knowledge. Henc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implication of the collecting and cataloguing within the field of artistic practice with a focus on Mark Dion’s work, and explains how the method is used for artists to produce new knowledge, express ideas or interpret contemporary culture.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implications of Cabinet of Curiosities from the Renaissance to postmodern periods. Whereas Cabinet of Curiosities from the Renaissance was a means for an individual to gain knowledge about the world on their own right, the collecting and cataloguing culture evolved into the early form of science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Surrealist group employed collecting and assembling methods to achieve poetic and psychological effects, and more recently artists like Mark Dion mediated the format of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challenge the institutional knowledge by using both artistic and scientific methodolog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forms of knowledge in postmodern art practices by analyzing both formal to conceptual aspects of Cabinet of Curiosities.
예술가들의 수집과 분류방식 활용에 관한 탐구는 르네상스 시대에 생성된 ‘경이의 방’ 문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현대 미술작가들은 이를 다양한 형태와 맥락에서 재현하고 있다. 마크 디온(Mark Dion)의 ‘고고학적 탐사 시리즈’는 형식적인 면에서 ‘경이의 방’과 유사하지만 과학적 방법론을 재해석하여 제도적 지식을 비판하는 면에 있어서는 다른 작가들의 접근방법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에서 마크 디온의 작업을 중심으로 ‘수집과 분류’ 라는 작가적 방법론의 새로운 활용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르네상스시대부터 현대까지 수집과 분류의 문화사에 대해서 예술분야의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세시대의 ‘경이의 방’은 개개인이 주관적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로 쓰였다. 반면에 근대 계몽시대의 분류방식은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시스템을 통하여 객관적인 지식을 얻는데 이용되었다. 20세기 중반까지는 초현실주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이 수집과 분류개념을 이용하여 사물에 내제된 상징적인 부분들을 시적, 정신적 효과를 이용하여 활용하였다. 현대 작가들은 제도적 지식을 비판하는 작업들을 하였는데, 디온의 경우는 예술가의 직감적인 창작과 과학적 조사를 바탕으로 한 방법을 동시에 이용한다는 점에서 예술작업과 감상을 ‘지식획득의 대안적 형태’로 이해하는데 이바지 하였다. 본 연구는 ‘경이의 방’의 형식적 측면뿐 만 아니라 개념적 의의까지 분석하여 현대미술 작품을 통한 포스트모던 문화의 대안적 지식에 대한 태도를 재조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Copyright © 2015 Korean Basic Modeling Society.
예술가들의 수집과 분류방식 활용에 관한 탐구는 르네상스 시대에 생성된 ‘경이의 방’ 문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현대 미술작가들은 이를 다양한 형태와 맥락에서 재현하고 있다. 마크 디온(Mark Dion)의 ‘고고학적 탐사 시리즈’는 형식적인 면에서 ‘경이의 방’과 유사하지만 과학적 방법론을 재해석하여 제도적 지식을 비판하는 면에 있어서는 다른 작가들의 접근방법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에서 마크 디온의 작업을 중심으로 ‘수집과 분류’ 라는 작가적 방법론의 새로운 활용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르네상스시대부터 현대까지 수집과 분류의 문화사에 대해서 예술분야의 구체적인 예를 통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세시대의 ‘경이의 방’은 개개인이 주관적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로 쓰였다. 반면에 근대 계몽시대의 분류방식은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시스템을 통하여 객관적인 지식을 얻는데 이용되었다. 20세기 중반까지는 초현실주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가들이 수집과 분류개념을 이용하여 사물에 내제된 상징적인 부분들을 시적, 정신적 효과를 이용하여 활용하였다. 현대 작가들은 제도적 지식을 비판하는 작업들을 하였는데, 디온의 경우는 예술가의 직감적인 창작과 과학적 조사를 바탕으로 한 방법을 동시에 이용한다는 점에서 예술작업과 감상을 ‘지식획득의 대안적 형태’로 이해하는데 이바지 하였다. 본 연구는 ‘경이의 방’의 형식적 측면뿐 만 아니라 개념적 의의까지 분석하여 현대미술 작품을 통한 포스트모던 문화의 대안적 지식에 대한 태도를 재조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Copyright © 2015 Korean Basic Modeling Society.
Original language | English |
---|---|
Pages (from-to) | 317-331 |
Journal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Volume | 16 |
Issue number | 3 |
Publication status | Published - Jun 2015 |
Citation
Song, M. J. (2015). A study on the artistic application of collecting and cataloguing in contemporary art: With a focus on Mark Dion’s work.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6(3), 317-331.Keywords
- Collecting and cataloguing
- Cabinet of curiosities
- Scientific methodology
- Mark Dion
- Postmodern culture
- Institutional knowledge
- 수집과 분류
- 경이의 방
- 과학적 방법론
- 마크디온
- 포스트모던 문화
- 제도적 지식
- Alt. title: 현대 미술에서 수집과 분류법 활용에 관한 연구: 마크 디온의 작업을 중심으로